망막바리 증상 수술과 시력회복 자세히 알아보기
망막박리는 안구 안쪽에 붙어있는 망막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망막의 뇌벽에서 떨어져 나온 상태를 말하는데 망막이 계속 박리되면 망막에 영양이 공급되지 않고 광수용체 세포가 제대로 기능하지 않게 되는데 악화되면 최악의 경우 실명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무서운 질병으로 종류와 증상을 미리 알아 둘 필요가 있습니다.
망막박리 종류 1. 열공성 망막박리
눈의 내부를 채우고 있는 젤리처럼 끈적한 투명한 유리체가 노화로 인해 액화되어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망막이 떨어지는 것을 말하는데 고도근시나 망막 주변부 변성, 눈 수술 후에 나타나는 현상으로망막이 들떠 혈액 공급이 어려워지면서 망막이 제 기능을 못하게 됩니다.
망막박리 종류 2. 견인성 망막박리
비열공성 망막바리의 일종인 견인성 망막바리는 망막의 염증, 당뇨성 망막병증, 고혈압, 포도막염, 망막혈관염 등에 의해서 눈 속에 흉터 조직이 자라면서 망막이 잡아당겨지고 그러면서 발생하는 질환인데 눈의 내부가 깨끗해야하는데 응고된 혈액이 뭉쳐 증식막이 생길 수 있는데 이러한 증식막이 망막을 잡아당겨 발생하는데 결국 망막바리로 악화를 시키게 됩니다.
망막박리 종류 3. 삼출성 망막박리
마찬가지로 비열공성 망막바리의 일종인 삼출성 망막바리는 안구 내 망막에 구멍이 없이 망막 아래쪽에 눈 속 액체가 고인 상태를 의미하는데 눈 속의 염증으로 인해 망막박리가 발생합니다.
망막박리 증상 1. 시력감퇴와 변형
열공성 망막박리의 경우 망막박리 증상은 망막박리가 눈물 주위로 점차 넓어지며 커튼이 쳐지는 것처럼 눈 주위를 덮는 증상으로 주변부에서부터 시작하여 중앙부로 갈수록 보이는 모습이 흐릿하거나 일그러지게 보입니다.
망막박리 증상 2. 비문증
비문증은 눈 앞에 파리나 실 같은 물체가 있는 증상인데 비문증으로 인한 망막바리의 경우 증상이 악화되면 시각적인 불편함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 증상 3. 광시증
광시증은 눈을 좌우로 움직일 때 빛이 번쩍거리는 증상을 말하는데 광시증으로 인한 망막바리는 마찬가지로 형광등이 갑자기 켜지는 것이나 플래시가 갑자기 터진 듯한 섬광을 주기적으로 느끼게 되는데 이 역시 증상이 지속되면 주의가 요구됩니다.
망막박리 치료 1. 레이저 광응고술
정밀검사 후 열공이 발생하거나 망막박리가 그다지 진행이 되지 않은 상태거나 초기 상태인 경우 레이저 광응고술을 통해 망막박리의 증상 악화를 막을 수 있습니다.
망막박리 치료 2. 유리체 절제술, 공막 돌륭술, 망막 유착술
반면에 이미 망막박리가 진행이 된 경우에는 수술법으로 떨어진 망막을 다시 붙여주는 유착술을 실시해야 하는데 수술을 하더라도 이전과 같은 시력으로 복구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워 가급적 초기에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며 나이가 들어갈수록 정기검진을 꾸준히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류성 식도염 증상 10가지 총정리 (0) | 2023.02.17 |
---|---|
고지혈증에 좋은 음식 10가지 총정리 (0) | 2023.02.17 |
노로바이러스 장염 증상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2.17 |
기립성 저혈압에 좋은 음식 10가지 알아보기 (0) | 2023.02.16 |
유산균 먹는 시간 알아보기 (0) | 2023.02.16 |
댓글